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바로가기
  • 충남대학교
  • 정보화본부
  • CNU With U
  • 도서관
  • 발전기금
  • 사이트맵
  • 번역이 완료되었습니다!
 
모바일 메뉴 열기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DEPARTMENT OF PHYSICS

물리학의 원리와 실용성을 동시에 아우르는 교육,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에서 꿈을 이루세요.

응집물질(고체)물리학

펨토초실험실

펨토초실험실
담당교수 연락처 실험실 홈페이지
이기주 042-821-7472 바로가기



시간과 공간은 물리 현상을 기술하는데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단위입니다. 현재 나노미터 이하의 공간 분해능으로 물질의 원자구조를 연구하는 영역이 물리학 분야의 큰 줄기인 것처럼 시간 단위에서는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하여 아주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물질 내의 전자 및 격자 동역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실험실에서는 펨토초 레이저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반도체 소재/소자, 나노 물질 등의 초고속 현상을 탐구하고 있으며 공간 분해능과 시간 분해능을 동시에 갖는 펨토초-나노 융합 기술 개발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펨토초실험실은 빠른 시간 분해능이 매우 짧은 펨토초 펄스 레이저를 이용하여 반도체, 나노물질 및 소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극초고속 펨토초(10-15 초) 현상들을 연구하고 있으며, 새로운 분광학적 기술의 개발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실험실에서 자체 제작한 20 펨토초 미만의 극초단 티타늄 사파이어 펄스 레이저 시스템 및 근적외선 펄스를 생성시킬 수 있는 펨토초 광파라메트릭 공진기와 여기-탐침 측정장치, MCD (magnetic circular dichroism, 자기원형이색성) 등 거의 모든 광전자 시스템의 동력학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이들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에서의 결맞은 격자 동역학 연구 및 ZnO nanorod의 전자 동역학 현상 연구, 자성 물질의 스핀 동역학 연구, 표면 플라즈몬 현상 연구 등에 주력하고 있다.




펨토과학이라는 단어가 아직 매우 생소한 개념일 수 있는데 펨토초 영역에서 일어나는 물리?화학적 현상을 탐구하는 분야를 뜻하며 주로 펨토초 펄스 레이저를 이용해서 관찰한다. 여기서 펨토초(femtosecond)는 시간의 단위로 1 펨토초는 1000조 분의 1 초에 해당한다. 너무도 짧은 순간에 일어나 볼 수 없었던 원자?분자의 운동을 이해하려는 새로운 과학의 도구로 펨토과학이 등장하고 있다. 이전까지는 실시간으로 물질 내 분자들이 형성되고 서로 반응하면서 일어나는 원자들의 실제운동을 관측하는 데에 어려움이 많았다. 화학결합은 놀라울 정도로 빠른 속도로 깨지고 형성되며 위치변화를 일으킨다. 물질 내에서의 원자 운동 속도는 1 km/sec 정도이므로 옹스트롬(Å)의 거리에서 원자동역학을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약 100 펨토초이다. 펨토초 펄스 레이저를 이용하면 이러한 관측이 가능하게 되는데, 아주 짧은 찰나의 순간에 레이저의 섬광을 일으켜 레이저 빛이 물체에 부딪힌 뒤 튀어나오는 신호를 이용해 순간을 포착하는 것이 펨토초 관측의 원리이다. 그동안 과학은 뉴튼방정식이나 맥스웰방정식처럼 대부분 에너지를 통해 시간을 바라봤을 뿐 시간을 직접 볼 수는 없었지만 펨토과학을 이용하여 우리는 시간을 무한히 쪼개어 찰나의 순간까지 볼 수 있게 되었고 그 영역까지 인간의 개입이 가능해지게 된 것이다.




연구실 구성원
-박사과정 : 김지희
-석사과정 : 김창섭
-학부참여자 : 이철훈, 강태진
-졸업생 : 장동욱, 한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