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바로가기
  • 충남대학교
  • 정보화본부
  • CNU With U
  • 도서관
  • 발전기금
  • 사이트맵
  • 번역이 완료되었습니다!
 
모바일 메뉴 열기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DEPARTMENT OF PHYSICS

물리학의 원리와 실용성을 동시에 아우르는 교육,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에서 꿈을 이루세요.

응집물질(고체)물리학

응용플라즈마물리실험실

나노신소재및소자연구실
담당교수 연락처 실험실 홈페이지
유신재 042-821-6539 바로가기

플라즈마란 제4의 물질 상태로서 전자와 이온 그리고 중성 가스로 구성되며, 우주의 99.9 % 이상이 플라즈마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 은하계에서 대표적인 플라즈마는 태양이며, 지구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플라즈마는 번개, 오로라 등이 있다. 플라즈마는 핵융합기술, 나노기술(NT), 우주항공기술(ST), 생명공학기술(BT), 환경공학기술(ET)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특히, 저온 플라즈마는 소자 제조 공정에 있어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반도체 공정의 경우 30 % 이상, LCD 공정의 경우 50 % 이상 플라즈마가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주요공정이 모두 플라즈마 공정이기에 플라즈마 없이 반도체등의 공정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에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고전역학/전자기학/통계역학 등 물리학의 기초 학문들과 전기/전자/전파/바이오 등 공학 학문들을 융합하여 플라즈마 내 물리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기초 연구와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진단 장비를 개발하는 응용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또한, 국내 우수한 공동 연구 그룹과 플라즈마 장비/공정 해석 시뮬레이터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중에 있으며, 그 중 시뮬레이터 개발에 필요한 플라즈마 공정 데이터베이스 개발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 수행중인 연구 과제를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다.

· PFC 가스 대체용 Fluorocarbon 계열 precursor를 이용한 식각 공정 개발

· 다공정 고신뢰성 chemistry 관련 DB 개발

· 플라즈마 아킹 발생 메커니즘 연구를 통한 아킹 예보 시스템 개발

· 게이트 스페이서 및 다중 패터닝 기술을 위한 SiN/SiO2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 공정 및 대체기술 개발

· 10 nm 반도체 공정 한계를 위한 전산모사 연구

· 중성빔 주입용 고효율 플라즈마 중성화 기술 연구

실험실 홈페이지를 방문하시면 더 재미있고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림1 . 응용플라즈마 물리 실험실에 구비중인 다양한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 대한 사진




                                                                                                                                                        그림2. 축전결합형 플라즈마의 발생 모습




                                                                                                                                                                                    그림3. 유도결합형 플라즈마의 발생 모습